한솔케미칼 주가 오르지 못하는 이유
한솔케미칼의 최근 주가는 반도체 업황 상승에 비해서 부진하다. 또한 타 업체에 비해서 그리고 같은 소재 업체에 비해서도 부진한 성과를 내고 있다.
주가의 단기적 성과는 예측 불가이지만 한솔케미칼이 못 오르고 인기가 없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우선 hbm과의 교점이 없다. 지금의 반도체 호황은 ai반도체에 국한되어서 호황인데 한국에서는 그와 관련된 반도체가 hbm생산뿐이다. 솔브레인이나 동진쎄미켐은 사업파트나 자회사로 hbm연관되어서 내러티브가 있다. 실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진 않지만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한솔케미컬은 전혀 없다. 그래서 이제는 레거시 반도체라 칭하는 d램이나 낸드에서 실적이 좋아져야 한다. 물론 이 부분도 많이 좋아지긴 했으나 아직도 감산 중이고 소재를 납품하는 한솔케미컬로써는 수혜가 없었다.
그리고 삼성과의 관계이다. 삼성가의 혈연이기도 하고 전 세계 업체에 남품한다고는 하지만 삼성전자와 관계가 깊고 매출 비중이 높다. 알다시피 삼성전자는 hbm경쟁에서 뒤처지고 있고 아직도 엔비디아 납품이 성공을 못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제일 우선되야 하는 것은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공급 성공이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레거시 반도체 생산 조절이 더 되고 지금도 공급조절로 많이 오른 반도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다. 그러면 감산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고 한솔 케미컬도 단순 실적 턴어라운드가 아닌 실적 고점 갱신도 가능할 것이다. 그럴 경우에 의미 있는 상승이 올 수 있다.
주식투자가 어려운 것은 분석이런 것보다 심리적인 부분이 더 큰 거 같다. 고수익을 내는 종목과의 비교 오르지 못하는 내 종목에 대한 조바심. 잘못 선택하지 않았나 하는 본인 선택에 대한 회의 자책감 등이 참 어렵게 만든다.
한솔케미칼에 대한 결과는 올해 말에 나올 것이다. 잘 안될 수도 있으니 분산투자를 하는 것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점검해 본다면 못 오른 것에는 이유가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주목을 받게 될 수 있는 확률이 높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