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에 대한 생각

투자 기업의 신뢰도

by 인내심이 셋이면 부를 이룬다 2024. 2. 17.
반응형

 19년도의 글이다.

 기업의 신뢰도는 매우 중요하다. 기업의 신뢰도는 기업 오너, 경영진, 기업문화 모두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전문 경영진에게 일임하고 배당받는 거 외에 경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는 대주주의 의지가 중요하다. 피고용인은 기업문화에 영향을 줄 힘도 없고 주고 싶은 마음도 없다. 전체가 흘러가는 대로 따라가게 돼있다(물론 본인은 다들 아니라고 생각한다).

 코오롱 인보사 사건을 보면 결국 알면서도 밝히지 않고 속인 것이 제일 큰 문제이다. 솔직히 말했으면 연구개발 한금액을 손해 본 수준에서 끝났을 일을 그룹 전체가 위태롭게 되었다. 소송 결과까지는 오래 걸리겠지만 최악의 경우를 가정하면 티슈진이야 아무 의미도 없고(상장폐지 수순) 코오롱 생명과학에서 감당하기도 어려울 정도의 금액일 것이다. 지주사 코오롱에 큰 부담이 될 확률이 높고 직접적 지분 없는 다 계열사까지도 영향을 줄 확률이 높다. 가격적인 측면에서 코오롱 인더스트리나 코오롱 글로벌을 고려해본 적이 있으나 투자하지 않은 데에는 나에게 코오롱 그룹의 신뢰도는 낮게 평가됐기 때문이다. 

 그러면 투자 기업의 신뢰도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정량적인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 부분이지만 특정한 방법은 없다. 

 개인적인 몇 가지 팁이 있다. 말이 앞서는지 행동이 앞서는지 보는 것이다. 이루어진 것도 없는데 말이 앞서는 경우를 종종 본다. 개발되지도 않은 것을 곧 개발될 것처럼 말하거나 큰 금액을 투자를 한다고( 기한은 아주 긴 기간을 잡는다. 본인도 지키기 어려울 것을 알고 있다) 하는 소리를 떠들고 다니는 경우다. 재무제표에서는 보수적으로 처리하는 기업이 대체로 정직하다. 개발비, 무형자산을 크게 인식해 놓는 경우나 재고자산, 매출채권이 매출액에 비해 매우 큰 경우는 위험신호다. 

 투자는 확률 싸움이다. 정직하지 않은 기업에서도 큰 수익이 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정직한 기업이 확률이 훨씬 높다. 굳이 쉬운 길을 놔두고 험로를 갈 이유는 없지 않나 생각한다.

반응형

'투자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세에 대한 함정  (0) 2024.02.18
밸류 트랩에 대하여  (2) 2024.02.18
pbr과 roe에 대한 생각  (3) 2024.02.16
roe와 배당성향에 대한 생각  (0) 2024.02.16
역발상 투자의 어려움  (0) 2024.02.16